![](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C5C475448860F24)
다인수의 학생들과 살아가는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생활을 기록하지 않고서는 다 기억할 수 없습니다. 학생들의 생활은 NEIS에 기록됩니다. 하지만 NEIS에 항상 접속해서 학생들의 생활을 기록하기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어떻게 하면 학생 생활을 쉽게 기록할 수 있을까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3693C544A93C80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3BC3A544A93FE0D)
1. 교무 수첩 활용하기
직접 교무 수첩이나 다이어리를 들고 다니면서 그 때 그때 기록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F0839544A94B013)
* 문제점
-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없다.
- 한 장의 사진이 글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을 경우가 있다.
- 많은 내용을 쉽게 적기 힘들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3C534544A9577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0A33E544A95B91D)
에버노트 어플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언제든지 쉽게 기록을 하고 꺼내 볼 수가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학급의 학생들을 폴더별로 묶어서 개개인의 학생 생활 내역을 기록한 모습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39046544A963E0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98140544A9852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30846544A97CD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34846544A97CE0C)
1. 에버노트 설치하기
① http://evernote.com에서 화면 위쪽에 위치한 [제품]을 클릭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에버노트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② 이메일 주소, 아이디, 비밀번호를 적고 가입을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D8E39544A99381A)
③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 못할 경우 웹 사이트 오른쪽 위의 로그인을 통해 사이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129E3B544A995413)
2. PC에서 에버노트 화면과 기능 살펴보기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6CD439544A99FD1B)
① 스택, 노트북, 노트를 표시하며,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은 노트가 기록될 폴더의 역할을 합니다.
노트는 하나하나 기록되는 메모들 낱개를 의미하며 컴퓨터의 파일에 해당됩니다.
스택은 노트북들을 모아주는 하나의 상위 폴더를 의미합니다.
② 노트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입니다.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노트 복사, 노트 이동, 공유, 태그 달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4BD37544A9A410F)
③ 노트를 기록하는 화면이다. 제목, 날짜, 태그 등을 기록할 수 있으며, 노트 작성 기능을 담고 있습니다.
④ 노트 편집 추가 기능이다. 체크박스, 표, 선긋기, 파일 첨부, 녹음 등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⑤ 동기화 기능은 양쪽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에버노트는 컴퓨터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인터넷 웹 상에서도 작업할 수 있는데 동기화를 시켜줘야 각각 다른 기기에서 작업한 내용을 모두 일원화 시켜줄 수 있습니다. 시작할 때 동기화 버튼을 눌러주고 작업 후에 ‘저장’한다고 생각하고 눌러주면 됩니다.
⑥ 그 밖의 가운데 위의 [새 노트]를 눌러서 노트를 작성할 수 있으며, [공유] 버튼을 클릭하여 내가 작업한 노트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F7633544A9A8D13)
⑦ 메뉴의 [도구] - [계정정보] 눌러보면 이번 달 사용한 용량이 표시됩니다. 무료 이용자는 한달에 60MB의 용량이 제공되며, 가입한 날을 기준으로 매달 사용량이 초기화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9D042544A9ABA24)
3. 스마트폰에서 에버노트 살펴보기
자신의 스마트폰에도 어플을 검색하여 다운 받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gensmartwork.tistory.com/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