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아래와 같은 학교별 시설정보를 알고 싶은데 광주에 위치한 학교 시설 정보를 알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멍2

1. 전화해서 물어본다.문자




http://sisul.gen.go.kr/equip/main.do


  광주광역시교육청에서 만든 학교시설이력관리시스템에 접속하면 광주의 모든 학교의 시설현황을 볼 수가 있습니다.

  시설별 내구성을 강화하고 개선비용을 절감해 학교 시설의 불균형을 해소하 는 것은 물론 미래교육과정에 적합한 다양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한 사이트입니다.





http://sisul.gen.go.kr/equip/main.do


Posted by Mr.김대연
,

  다른 학교를 방문할 일이 생겼을 때 목적지의 위치, 출발지에서 떨어진 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쉽게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학여행 사전답사를 가는 경우 본인 자동차를 이용했다면, 교통비 산정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1. 방문할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오시는 길] 정보를 활용한다.

 

  - 문제점 : 목적지 주변의 건물명, 지명등이 익숙치 않아서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출발지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다.

             차량 이동경로가 표시되지 않아 찾아갈 길을 머릿속에 떠올리기 힘들다.


 2. 방문할 학교에 전화로 문의한다.

  - 문제점 : 전화받은 사람이 지리에 익숙치 않으면 설명해주기가 어렵다.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3. 차량 내비게이션으로 확인한다.

  - 문제점 :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는 관련정보를 찾아볼 수 없다.


스마트폰 어플에서 제공하는 내비게이션이나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서비스를 활용하면 이동거리, 모의주행, 교통비 계산에 필요한 기초 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다.

   

1. 스마트폰 어플 활용하기

  ① 어플을 실행시킨다. 가입되어 있는 통신사의 무료 내비게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② 이동에 걸리는 시간과 거리등을 미리 예측이 가능하고 통행료도 확인할 수있다. 바로 안내를 시작할 수 있고 대중교통 노선에 관한 정보확인이 가능하다.

③ 모의주행도 해 볼 수 있어 처음 방문하는 학교를 찾아가기에 편리하다.


2. 네이버 지도 활용하기

  1) 자동차로 길찾기

① 네이버에 접속한뒤 지도 서비스를 클릭한다.

② 길찾기 서비스를 선택하고 자동차 탭을 클릭한다.

③ 이동 거리와 소요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2) 대중교통으로 길찾기

① 대중교통 탭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방법을 추천해준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다인수의 학생들과 살아가는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생활을 기록하지 않고서는 다 기억할 수 없습니다. 학생들의 생활은 NEIS에 기록됩니다. 하지만 NEIS에 항상 접속해서 학생들의 생활을 기록하기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어떻게 하면 학생 생활을 쉽게 기록할 수 있을까요? 



1. 교무 수첩 활용하기
직접 교무 수첩이나 다이어리를 들고 다니면서 그 때 그때 기록합니다.

 * 문제점

  -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없다. 

  - 한 장의 사진이 글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을 경우가 있다. 

  - 많은 내용을 쉽게 적기 힘들다.
 


에버노트 어플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언제든지 쉽게 기록을 하고 꺼내 볼 수가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학급의 학생들을 폴더별로 묶어서 개개인의 학생 생활 내역을 기록한 모습입니다.

 

1. 에버노트 설치하기

http://evernote.com에서 화면 위쪽에 위치한 [제품]을 클릭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에버노트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이메일 주소, 아이디, 비밀번호를 적고 가입을 합니다.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설치 못할 경우 웹 사이트 오른쪽 위의 로그인을 통해 사이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2. PC에서 에버노트 화면과 기능 살펴보기

스택, 노트북, 노트를 표시하며,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은 노트가 기록될 폴더의 역할을 합니다.

노트는 하나하나 기록되는 메모들 낱개를 의미하며 컴퓨터의 파일에 해당됩니다.

스택은 노트북들을 모아주는 하나의 상위 폴더를 의미합니다.


노트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입니다.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노트 복사, 노트 이동, 공유, 태그 달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노트를 기록하는 화면이다. 제목, 날짜, 태그 등을 기록할 수 있으며, 노트 작성 기능을 담고 있습니다.

노트 편집 추가 기능이다. 체크박스, , 선긋기, 파일 첨부, 녹음 등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동기화 기능은 양쪽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 에버노트는 컴퓨터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인터넷 웹 상에서도 작업할 수 있는데 동기화를 시켜줘야 각각 다른 기기에서 작업한 내용을 모두 일원화 시켜줄 수 있습니다. 시작할 때 동기화 버튼을 눌러주고 작업 후에 저장한다고 생각하고 눌러주면 됩니다. 

그 밖의 가운데 위의 [새 노트]를 눌러서 노트를 작성할 수 있으며, [공유] 버튼을 클릭하여 내가 작업한 노트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메뉴의 [도구] - [계정정보] 눌러보면 이번 달 사용한 용량이 표시됩니다. 무료 이용자는 한달에 60MB의 용량이 제공되며, 가입한 날을 기준으로 매달 사용량이 초기화 됩니다.



3. 스마트폰에서 에버노트 살펴보기

  자신의 스마트폰에도 어플을 검색하여 다운 받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gensmartwork.tistory.com/41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학교마다 학급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급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소통하시는 학부모님은 많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학부모님과 소통할 수 있을까요?

1. 학급 홈페이지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급 홈페이지는 학급 탐방이라는 메뉴에 학교 홈페이지와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하나의 업무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 문제점
- 스마트폰에서 접속하기 쉽지 않다.
- 홈페이지 주소를 넣고 접속하기가 쉽지 않다.
- 새로운 자료를 올려 놓아도 매일 접속하지 않으면 알 수가 없다.

 

2. 문자 메세지
   학부모와 학생들의 연락처를 등록하고 문자 메세지로 소통하는 방법입니다.

 

 * 문제점
- 비용이 발생한다.
- 많은 양의 사진을 공유할 수 없다.
- 스마트폰으로 많은 글자를 입력하기 쉽지 않다.

 

3. 카카오톡
   카카오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체방을 개설하고 소통하는 방법입니다. 

 

 * 문제점
- 본인과 관계 없는 내용을 많이 보게 된다.
- 대화창에 누가 빠져 나갔는지 파악이 쉽지 않다.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소통이 가능한 학급 홈페이를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공지하기, 투표하기, 일대일 대화하기와 같은 부가 기능까지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폐쇄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도 가능합니다.

1. 네이버 밴드 설치하기
   안드로인드와 IOS 모두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네이버 계정이 있으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밴드 어플리케이션 설치하기 : http://goo.gl/YOg8r
 

 

2. 네이버 밴드 PC에서 접속하기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밴드를 PC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 밴드 PC 버전 : http://www.band.us/home

 

3. 네이버 밴드로 소통한 사례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네이버나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궁금한 내용을 찾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내용이 검색되어 검색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짧은 시간에 내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을까요?

 

1. 검색창에 검색어만 넣기 
   찾고 싶은 내용과 관련된 핵심 단어를 검색창에 넣고 검색한다. 

* 문제점
- 너무 많은 정보가 검색되어 나에게 맞는 자료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검색을 할 때 몇 가지 검색 옵션을 사용하면 검색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키워드만 넣어서 검색하는 것보다 좀 더 제대로 찾고 싶다면 한번쯤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1. 반드시 포함될 단어 지정하기
   반드시 포함될 단어나 문장에 큰 따옴표(")를 입력합니다. 따옴표를 하지 않을 때보다 검색 결과가 줄어서 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 스마트 교육이 포함된 내용 검색
 

 

2. 최신 자료 검색하기 
   년도 사이에 마침표 두개를 일력하여 검색하면 년도 범위 내의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ex) 2013년부터 2014년 사이의 스마트 교육 관련 내용 검색  
 

 

3. 특정 종류의 파일 검색
   검색어 앞에 'filetype:파일 확장자'를 입력하여 특정 파일들만 검색합니다. 한글 파일의 경우 hwp, 파워포인트의 경우 ppt를 filetype: 다음에 입력합니다.
   ex) 스마트 교육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 검색,  스마트 교육 filetype:ppt
  

 

4. 특정 사이트 내에서만 검색하기
   검색어 앞에 'site:사이트 이름'를 입력하면 특정 사이트 내에서만 검색합니다.   ex) 스마트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만 검색,  스마트 교육 site:keris.or.kr

 

5. 계산기로 활용하기
   단순한 사칙연산 및 수식을 입력하면 계산기처럼 계산 결과를 보여줍니다. 
   ex) 1+3+5*3/2=

 

6. 환율 및 단위 변환기로 활용하기
   환율이나 단위를 변환하고자 하면 환율이나 단어 다음에 '='를 사용합니다. 
   ex) 1달러는 몇원인지 알고 싶을 때.  1달러=   
  

   ex) 1평이 몇 제곱미터인지 알고 싶을 때.  1평=    

 

7. 날씨 검색하기
   지역명과 날씨를 검색하면 날씨를 표시해줍니다.  
   ex) 광주광역시 날씨가 궁금할 때,  광주광역시 날씨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공문으로 보고서를 보내면서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받으면 어떻게 해야 할지 당황스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파일에서 용량을 차지하는 주된 원인은 이미지 파일 입니다.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이미지들의 용량이 커져서 이미지를 줄이지 않고 넣으면 한글 파일의 용량이 급격히 늘어납니다. PDF 파일의 경우에는 PDF 편집 파일이 없으면 용량 줄이기가 어려웠습니다.

 

1. 이미지 줄여서 다시 넣기
  보고서에 사용된 이미지들을 알씨(Alse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줄인 뒤 다시 한글파일에 삽입한다.

 

2. 한글파일에서 이미지 캡쳐하기
  보고서에 사용된 이미지들을 캡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크기에 맞게 캡쳐하여 한글파일에 삽입한다. 

 

 

* 문제점 :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줄여서 넣었는데 10MB 아래로 줄어들지 않을 수도 있다.
             

1. 한글 파일의 용량 확인
 
보고서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고 [속성]을 누르면 파일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파일은 16.8MB 이네요.

 

2. 그림 도구상자 불러오기
  용량을 줄일 보고서를 실행하고 [보기]-[도구 상자]-[그림]
을 선택합니다.

  오른쪽 끝에 [용량 줄이기]-[용량 줄이기 설정]을 선택합니다.

  용량 줄이기에서는 [저장할 때 모든 그림에 적용]을 선택하고 선택사항에서는 [설정한 해상도(dpi)로 변경하기]를 선택하고 값을 조정합니다. 값을 줄일 수록 그림의 해상도가 떨어지면서 파일 용량이 줄어듭니다.

  [확인]을 선택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3. 한글 파일의 용량 확인
 
보고서 파일이 6.93MB 으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그래도 10MB가 넘어간다면
 
최후의 방법으로 모바일에 최적화된 문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5. PDF파일 용량 줄이기
  가. 스몰PDF 사이트(http://smallpdf.com/kr)에 접속하여 [PDF 압축하기]를 선택합니다.


 나. [파일 선택]을 선택하여 줄이고자 하는 PDF를 선택합니다.  
 

  다. 파일이 9.15MB에서 5.89MB로 용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 [지금 파일 다운로드]를 선택하여 줄어든 PDF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학급의 특성에 맞추어 규칙을 정하고,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적용하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학급에서 일어난 일을 학급 규칙으로 해결하기 위해 교사 위주로 규칙을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드는 과정에서 어려움도 있고, 만든 규칙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데도 어려움이 많습니다.

 

규칙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아이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대하여 규칙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교사의 통제 위주로 규칙을 형성하면 아이들의 공감대를 사기 어렵습니다. 반대로 학생 위주로 규칙을 제정하면 교사의 잔소리는 줄어들기 어렵습니다.

 

 

  법사랑 사이버랜드 사이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학급의 규칙을 참고하여 학급 헌법(규칙)을 만들고, 클래스123 어플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1. 법사랑 사이버랜드 이용 학급 헌법(규칙) 만들기

http://cyberland.lawnorder.go.kr/

법사랑 사이버랜드 - 체험 법세상 탭

함께하는 법 - 우리 헌법 만들기

 

우리헌법만들기 - 온라인헌법만들기, 공모전(헌법액자신청), 헌법게시판

가정헌법, 학급헌법 만들기 선택(정해진 것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추가하여 사용 가능)

 

공모전에 올리면 결과와 관계없이 법무부 인증 액자로 만들어서 보내줍니다.

 

다른 학급, 가정의 헌법을 참고하고 싶으면 헌법게시판을 보면 우수 작품을 포함하여 많은 내용이 있습니다.

 

 

 

2. 클래스 123(Class123) 어플 이용 학급 규칙 점검하기

  클래스 123(IOS, 안드로이드, PC모두 호환) 어플을 이용하여 만든 규칙을 객관적으로 적용하고 누적할 수 있습니다.

PC버전 : http://class123.ac

 

클래스 123에 교사, 학부모, 학생 중 교사로 가입하여 학급을 추가합니다. 교담 선생님일 경우에는 여러 학급을 만들어서 반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쑥쑥카드를 학급의 규칙에 맞게 추가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업을 시작하고 필요한 경우 학생의 아이콘을 체크하여 점검사항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기록한 내용은 날짜-시간-초까지 정확하게 남아있어 언제 규칙을 어겼고, 긍정적인 행동을 했는지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과 학부모를 초대하여 함께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스마트기기에서의 활용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발표자료를 제작해야 하는데 저작권이 보호된 이미지 파일들 때문에 골치를 겪어봤나요? 직접 찍기는 힘들고 인터넷에서 함부로 다운받아 활용할 수는 없고, 참 어려운 상황이다. 저작권에 구애받지 않고 이미지 파일을 사용할 수는 없을까?

 

 

 1. 포털사이의 이미지 파일을 검색한 후 복사하여 활용한다.

  - 문제점 : 다른 사람이 제작한 이미지파일이라면 저작권 위반 위험이 있다.

             


 2. 인터넷 화면을 캡처하여 활용한다.

  * 문제점 : 다른 사람이 제작한 이미지파일이라면 저작권 위반 위험이 있다.

 

포털 사이트의 이미지 검색 조건을 설정하여 저작권 걱정없는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다.

   


1. 구글 검색도구를 활용하여 저작권 여부 설정하여 검색하기

    1) 구글 이미지 검색 사이트에 접속한다.

    2) 검색도구를 선택하여 세부옵션을 불러온다.

    3) 사용권한을 설정하여 무료 이미지를 필터링한다.

① 구글 사이트에 접속하여 우측 상단의 [이미지] 메뉴를 선택한다.

② 검색어를 입력한다.

 

③ 검색결과 화면에서 [검색도구]메뉴를 선택한다.

④ 사용권한을 클릭하여 원하는 종류의 이미지를 필터링한다.

 

2. 네이버 활용하여 저작권  설정 검색하기

  

① 네이버에 접속하여 이미지 검색을 한다.

 

② CCL 설정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 CCL의 정의 살펴보기(네이버 지식백과사전)

 

3. 무료 이미지 사이트 활용하기

  1) PixBay 활용하기

  2) ImagesBase 활용하기

    ※ ImagesBase 활용 사례

  3) PicJumbo 활용하기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교사 자신의 수업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자신의 수업을 촬영해서 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도움 없이 혼자서 촬영하면 화면 밖으로 나가 버리거나 교실 뒷쪽의 카메라에 목소리가 너무 작게 들어가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스마트하게 혼자서 촬영할 수 있는 방법을 없을까요?

1. 교실에 삼각대를 놓고 촬영
   자신의 수업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자신의 수업을 촬영해서 보는 방법입니다.

 

* 문제점 : 촬영 사각 지대가 생긴다.
              목소리가 작게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2.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촬영
   자신의 수업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자신의 수업을 촬영해서 보는 방법입니다.

 

* 문제점 : 도움을 받아야 함으로 부담스럽다.  
               수업이 공개되어 수업자가 부담을 느낀다.

 

  삼각대에 스위블을 설치하고 수업을 촬영 합니다. 수업자는 마커만 가지고 있으면 스위블이 마커를 따라오기 때문에 혼자서도 촬영이 가능합니다.

 

1. 스위블(Swivl)이 뭔가요
   스위블은 마커를 가지고 있는 대상을 추적하여 녹화하는 개인용 녹화 디바이스입니다.

* 스위블 홈페이지(http://www.swivl.co.kr/)

 

2. 스위블(Swivl) 전용 어플리케이션
   스위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스위블 환경 설정부터 마커 배터리까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OS와 안드로이드용 모두 어플이 있습니다.

  * 어플리케이션 설치하기 : http://goo.gl/S83gnT

 

3. 스위블(Swivl)의 다른 활용
   수업 촬영 외에도 스위블을 이용해 온라인 강의 만들기, 페이스타임과 같은 화상 통화를 하거나 뉴스 만들기 등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스위블을 이용해 뉴스 만들기 http://hansfood.tistory.com/1148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수업 자료를 만들거나 학교 행사 파워포인트를 제작할 때 이미지를 자르거나 배경을 투명하게 처리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이 학교에 구매되어 설치되어 있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을까요? 

1. 포토샾 프로그램 이용하기
  학교에 구매된
포토샵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미지 편집을 합니다. 유료라는 단점이 있지만 이미지 편집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2. 포토 스케이프 등 유사 프로그램 이용하기
   무료 프로그램으로
포토샵만큼 다양한 기능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이미지 편집이 가능합니다. 

 

* 문제점 : 포토샵이 구매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만 하면 이미지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도 필요 없고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인터페이스가 기존의 포토샵과 아주 흡사해서 따로 배우지 않아도 무리없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사이트(http://pixlr.com/editor/)에 접속하기
  
이미지 편집 사이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새 이미지 생성, 컴퓨터로부터 이미지 열기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2. 이미지 불러오기
   [컴퓨터로부터 이미지 열기]를 선택하면 내 컴퓨터에 있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하면 이미지가 웹상에 열립니다.

 

3. 이미지 편집하기
   원하는 이미지 편집을 합니다. 여기서는 올가미 툴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나머지 부분을 삭제하였습니다. 크롭 툴로 불필요한 부분을 잘랐습니다. 그 외 일반적인 수준에서는 거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4. 이미지 저장하기
   [파일]-[저장]을 선택합니다.

    [내 컴퓨터]가 기본값을 선택되어 있습니다. 품질을 100으로 올려주고 [확인]을 선택합니다.  

    저장할 위치를 확인하고 파일 이름을 바꾸어 줍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